본문 바로가기
-->
카테고리 없음

SKT 위약금 면제 방법 : 해킹 사고 전 가입자 환급 신청법

by Y Signal 2025. 7. 8.

 

 

 

SKT가 지난 개인정보 해킹사고로 인해 타 통신사로 번호이동 가입한 고객이 부담했던 위약금을 면제해 준다는 소식입니다! 이 고객들은 SKT가 7월 15일부터 만드는 전용 신청 페이지를 통해 환급 신청하면 위약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면제가 결정된 배경과 면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KT-위약금-면제-신청-방법-썸네일

 

 

SKT 위약금 면제 사유

지난 4월 19일, SK텔레콤에서 가입자의 유심 정보가 해킹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가입자들이 심스와핑이나 스미싱 같은 2차 피해를 우려하게 되었는데요. 이에 가입자들은 위약금이 발생하더라도 유플러스나 KT 등 타 통신사로 이동하는 선택을 했습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SKT 이용약관 제43조를 검토한 결과, 통신사의 귀책 사유로 인한 해지 시 위약금이 면제된다는 점을 확인했는데요. 이에 따라 이번 해킹 사고의 책임이 SK텔레콤에 있다고 판단하면서, 통신사를 변경하며 발생한 위약금은 면제되어야 하며 이미 납부한 위약금에 대해서도 환급 조치가 이루어질 예정임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SKT 위약금 면제 방법

면제사항

  • 공시지원금 약정자 : 휴대폰 단말기 지원금
  • 매월 요금할인 선택자 : 선택약정 할인 반환금

* 단말기 구입 시 할부금은 환급 대상에서 제외

 

 

 

신청조건

위약금 면제를 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킹사고 발생 전, 4월 18일(금) 24시 기준 약정에 가입되어 있던 고객
  • 해킹 사고 이후, 7월 14일(월) 24시 이내 해지했거나 예정인 경우

 

 

제외대상

  • 4월 19일(토) 0시 이후 신규 가입, 기기 변경 또는 재약정을 한 고객
  • 4월 19일(토) 0시부터 7월 14일(월) 24시 사이에 해지 후 다시 가입한 고객
  • 특수 목적의 IoT 회선이나 회사가 직권 해지한 회선

 

 

신청방법

SKT 위약금 면제 신청은 온라인 전용 페이지를 통해 신청하거나, SKT 고객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해킹 사고 이후 위약금을 납부한 고객도 동일한 방법으로 환급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온라인 신청 : [T월드 홈페이지] 또는 T월드 앱

 

* 고객센터 : 1599-0011(유료), SKT 가입자 휴대폰에서 국번없이 114(무료)

 

 

 

자주 묻는 질문(FAQ)

Q1. 위약금 면제 신청 전, 돌려 받을 위약금을 조회할 수 없나요?

[T월드 위약금 조회하기]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어요. 7월 3일 이전 해지 고객은 실제 위약금이, 7월 4일 이후 해지 고객은 6월 30일 기준 위약금이 조회됩니다.

 

 

Q2. 면제 신청 시 확인되는 위약금과 조회시 위약금이 달라요.

조회 시 위약금은 예상 위약금으로 실제 위약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시 나타나는 위약금이 실제 돌려받을 금액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SK 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 (유심 교체 전 개인정보 보호하기)

SK텔레콤 가입자 2,500만 명의 정보 유출에 의해 금융사기 등 피해가 우려됩니다. SKT 측은 피해예방을 위해 무상 유심 교체를 진행 중이지만, 재고가 부족해 당장 교체를 못하는 인원이 많은 상황

blog.ymansion.co.kr

 

 

SKT 유심 교체 안하면 어떻게 될까? (금융사기 노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필수)

SKT 유심 서버 해킹 사건으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가입자들이 매일 대리점을 방문해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지만, 수량이 부족해 많은 가입자들이 교체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blog.ymansion.co.kr

 

 

SKT에서 타 통신사로 번호 이동한 고객들은 위약금 면제 신청을 하시어, 납부한 위약금을 꼭 돌려받으시길 바랍니다.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면 온라인 금융 피해 등 2차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는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따라서 통신사들은 국민의 소중한 정보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