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는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이용권을 1인당 35만원 지원합니다. 이 이용권을 사용하면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자격증, 어학, 창업 등 강좌를 수강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신청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회적 약자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인당 최대 35만원까지 지원하는 교육 이용권입니다. 이 지원금은 서울시의 교육 소외계층 총 1만 8천명에게 지원됩니다.
지원대상
평생교육이용권 지원대상은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주소지를 둔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상세 유형은 4가지가 있습니다. 유형 중,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가장 많은 인원을 모집하며, 우선으로 선정하게 됩니다.
대학생 중에서는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을 받고 있다면 일반 및 장애인 이용권 이용자는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지원대상 | 이용권유형 | 지원규모 |
기초 및 차상위계층 | 일반 이용권 | 14,332명 |
30세 이상 성인 중 디지털 평생교육 수요자 | 디지털 이용권 | 1,685명 |
65세 이상 노인 | 노인 이용권 | 1,346명 |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 장애인 이용권 | 1,596명 |
신청기간
- 기초 및 차상위계층,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 2025년 4월 24일(목) 10시 ~ 5월 14일(수) 18시
- 디지털 평생교육 수요자, 65세 이상 : 6월 중 별도 공고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신청 방법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신청방법은 일반 이용권과 장애인 이용권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 이용권은 평생교육이용권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고, 장애인 이용권은 보조금 24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및 디지털 이용권 신청 접수는 6월 중 공지될 예정입니다.
제출서류
- 평생교육이용권 발급 신청서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제공 동의서
- 필수사항과 이용자 준수사항 확약 동의서
- 신분증(본인인증)
유의사항
- 신청 이후 휴대전화번호가 변경되면 홈페이지의 마이페이지에서 정보를 변경하세요.
- 국가장학금 중복 수혜자 확인 시 신청이 불가합니다.
- 교육 환불을 통한 현금화 등 부정 사용자는 지원금이 환수되고, 차년도 지원이 불가합니다.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사용방법
서울 평생교육이용권은 NH 농협 채움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청인 명의로 발급받은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대상자로 선정되었지만, 2개월 간 카드를 미 발급하면 사용 자격이 박탈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카드를 발급받았다면, 이 카드에 지급되는 포인트를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관]으로 등록되어 있는 온·오프라인 기관에서 수강 강좌를 결제 시 사용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Q)
Q1. 평생교육이용권으로 교재만 구입할 수 있나요?
아니오, 평생교육이용권은 2025년에 시작되는 강좌에 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강하는 강좌에서 교재가 필요할 때는 교재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Q2. 교육은 내가 원하는 곳에서 수강할 수 있나요?
교육은 이용권 사용이 가능한 기관에서만 수강할 수 있습니다. 미등록 기관에서 결제 시 개인 계좌에서 출금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Q3.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간은 언제까지 인가요?
이용권 사용기간은 2025년 12월 31일(수)까지입니다. 미 사용된 금액은 이월되지 않고, 자동 소멸되니 기간 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서울 평생교육이용권 신청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1인당 최대 35만원의 지원금을 받아, 교육 강좌 수강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