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카테고리 없음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사용방법 알아보기 (2006년생 최대 15만원 지원)

by Y Signal 2025. 2. 25.

 

청년문화예술패스-신청-썸네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6년생 청년에게 지원하는 청년문화예술패스를 아시나요? 공연 및 전시 관람을 위한 지원금이 최대 15만 원까지 지급된다고 하는데요. 지역별 예산 소진 시 발급이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아래의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 및 사용방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청년문화예술패스-공고문-포스터
출처:문화체육관광부

 

청년문화예술패스는 사회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19세 청년들이 문화활동을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공연 및 전시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금은 국비 10만 원과 지자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급되는 5만 원으로 최소 10만 원에서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은 협력예매처 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중 1곳을 선택해 본인인증부터 진행하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온라인-신청하기-배너

 

 

협력예매처 본인인증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전, 협력예매처인 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고, 본인 인증을 완료하셔야 합니다.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다면 아이핀 인증도 가능합니다.

 

  • 인터파크 티켓 :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수정 >> 본인인증 완료 확인
  • YES24 티켓 : MY 티켓 >> 회원정보 >> 본인명의 휴대폰 인증 확인

 

이렇게 협력예매처에서 본인 인증을 해야 하는 이유는 신청 후 지원 금액이 협력예매처로 바로 지급되기 때문입니다. 인터파크 티켓은 포인트, YES24 티켓은 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유의사항

  • 신청 당시 본인 인증한 계정에서만 사용가능하고, 해당 계정을 탈퇴한다면 지원금은 소멸됩니다.
  • 신청 시 복수 협력예매처 선택은 불가합니다.
  • 사용 실적이 없는 이용자는 6월 2일 ~ 8일 기간 내 협력예매처 변경을 1회 할 수 있습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방법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방법은 선택한 협력 예매처의 온라인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 로그인해 관람할 공연 또는 전시를 선택한 이후, 결제단계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처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처는 연극, 뮤지컬, 클래식 등 공연과 미술, 공예 등 전시 관람을 할 수 있는 곳이지만, 일부 비허용 장르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구분 공연 전시
관람 허용 장르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발레, 무용, 합창, 국악, 음악콘서트 , 음악 페스티벌 미술, 공예, 애니메이션 전시, 캐릭터 전시 등
관람 비허용 장르 토크 콘서트, 팬미팅, 강연, 종교행사, 아동/가족 장르, 아동체험전, 영화제, 학교축제, 관광, 행사 및 축제 등 아동 및 가족 장르, 아동체험전 등

 

유의사항

  •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기간은 발급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기간 내 미 사용 시, 지원금은 자동 반납됩니다.
  • 예매일 기준 6월 30일까지 사용 실적이 없다면, 지원금은 전액 회수됩니다.
  • 신청자 본인만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 회차의 문화행사는 1매만 예매 가능합니다.
  • 결제 금액이 지원금을 초과한다면, 본인 부담금을 사용해 예매할 수 있습니다.
  • 사용처에서 티켓 수령 시 본인 확인을 위한 증빙자료를 제출돼야 합니다.

 

잔액 확인 방법

지원금 사용 후 남은 잔액은 청년문화예술패스, 인터파크 티켓, YES24 티켓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청년문화예술패스 : 마이페이지에서 예매일 기준 1일 전 확인 가능
  • 인터파크 티켓 : 결제 단계에서 잔여 포인트 확인
  • YES 24 티켓 : 마이페이지 >> 나의 계좌 >> YES 상품권에서 확인

 

 

지금까지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과 사용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0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청년들은 최대 15만 원의 지원금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